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리금융 조기 민영화 가능할까?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지난 24일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계획에 대해 “시간을 끌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과연 우리금융의 조기 민영화가 성사될 수 있을 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해 말 금융위원장에 취임한 이후 공식·비공식 석상에서 그동안 여러차례 “올 상반기 중 우리금융의 재매각을 시도하겠다”고 말했다. 따라서 “시간을 끌지 않겠다”는 발언 자체로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발언에 쏠깃하게 되는 이유는 “머릿속에 생각하는 것이 있다”라는 아주 ‘특별한’ 대목 때문이다. 이미 구체적인 매각계획을 세워뒀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관련,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매각계획을 공식화할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김 위원장의 발언은 여러가지 가능성 있는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수준으로 이해해달라”며 말을 아꼈다.

하지만 공자위의 최근 행보에는 속도감이 느껴진다. 공자위는 오는 28일에 올해 첫 전체회의를 개최해 이 자리에서 우리금융의 경영권을 매각할 지, 지분 분산 매각을 통해 공자금을 부분 회수할 지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공자위의 무게 중심은 경영권 매각에 쏠려있다.

공자위 관계자는 “지분 분산 매각은 공자금 회수 극대화 취지와는 거리가 있다”며 “우선 대안은 경영권 매각이고, 이를 구체화할 방안 마련에 논의가 모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경영권 매각이란 정부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 56.97%에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 파는 방식이다. 외형상 지난해 정부가 추진했던 방식과 동일하지만 틀이 바뀔 가능성이 높다. 지난 해 ‘유효경쟁’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매각을 중단한 만큼 유효경쟁 요건을 완화할 것이란 게 시장의 판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해 지분의 절반인 28.5% 이상을 사겠다는 후보자가 두 군데 이상 나와야 유효경쟁이 성립한다고 간주해 매각이 불발됐다.

시장에서는 하나금융지주가 외환은행 인수로 방향을 틀고, KB금융지주 등 자금여력이 있는 금융그룹이 입찰 불참을 선언한 만큼 현실적으로 당장 이 만한 규모의 지분을 인수할 두 곳 이상의 인수희망자를 찾아내기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여러개의 기관투자가가 참여한 사모펀드가 우리금융 경영권 행사에 필요한 최소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민영화를 시도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해 말 시중의 한 사모펀드는 이같은 방식으로 우리금융 경영권 인수를 시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정부는 작년 7월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마련해 매각 절차에 돌입했으나 입찰 진행 요건인 유효경쟁이 성립하지 않자 같은 해 12월17일 민영화 중단을 선언했다.

<윤재섭 기자/ @ JSYUN10>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